Develop/AI

DPO를 알아보자.

YOOZI. 2025. 3. 22. 23:03
728x90
강화 학습을 넘어 더 효율적인 최적화

 

 

 

오늘은 DPO 알아보자.

오늘의 배움
  • DPO 개념과 정의
  • RLHF와의 차이점 및 비교
  • DPO 학습 과정 및 실제 적용 사례

1. DPO (Direct Preference Optimization)

  • 정의: DPO(Direct Preference Optimization)는 보상 모델을 따로 학습할 필요 없이, 사람의 선호 데이터를 직접 최적화하는 방식으로 LLM을 조정하는 학습 방법이다.
  • 한 줄 요약: RLHF의 강화 학습 단계를 생략하고, 선호 데이터를 활용해 모델을 직접 최적화하는 방법
  • DPO 학습 과정
    • 1단계: 선호 데이터(Preference Data) 수집
    • 2단계: 선호 데이터 기반으로 직접 모델 최적화
    • 3단계: 보상 모델 없이 최적화된 모델 평가
  • 특징:
    • 보상 모델 없이도 효과적인 모델 미세 조정 가능
    • 선호 데이터를 활용하여 직접 모델을 업데이트
    • KL regularization을 활용해 기존 모델 대비 과도한 변경을 방지
  • 필요성:
    • RLHF의 높은 학습 비용과 복잡성을 줄이기 위해 필요
    • 강화 학습 없이도 사용자 피드백을 반영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 제공
  • 장점/단점:
    • 장점: 학습 과정 단순화, 보상 모델 불필요, 안정적인 최적화
    • 단점: 실험적 기법으로 검증된 사례 부족, 데이터 품질 의존
  • 예시:
    • ChatGPT와 같은 AI 챗봇 개선: OpenAI의 RLHF 기반 ChatGPT는 사람의 피드백을 받아 보상 모델을 만들고 강화 학습을 하지만, DPO는 이 과정을 생략하고 선호 데이터만으로 최적화하여 성능을 개선함
    • Anthropic Claude 모델 적용 사례: Claude 모델에서 DPO를 적용하여 학습 비용을 절감하고 더 안정적인 응답을 생성함

2. 핵심 개념 정리

구분 RLHF DPO
학습 방식 보상 모델을 학습한 후 강화 학습 적용 선호 데이터(Preference Data)만을 사용해 직접 최적화
보상 모델 필요 여부 필요 (Human Feedback → Reward Model) 불필요 (선호 데이터를 바로 최적화)
학습 과정 복잡성 PPO 알고리즘 사용, 보상 모델 평가 필요 간단한 최적화 과정, 수식 기반 조정
장점 효과적인 강화 학습 가능 학습이 더 간결하고 안정적
단점 학습 비용이 크고 튜닝이 어려움 아직 실험적 단계이며 적용 사례 부족

 

728x90

'Develop >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합성곱(CNN) 신경망 주요 모델 알아보자.  (0) 2025.03.23
합성곱(CNN) 신경망 알아보자.  (0) 2025.03.22
RLHF을 알아보자.  (1) 2025.03.22
파인튜닝 - PEFT를 알아보자.  (0) 2025.03.22
파인튜닝을 알아보자.  (0) 2025.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