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Database 15

DATA_TYPES / BUILD_IN_FUNCTIONS 를 알아보자.

데이터 블록을 탄탄하게 차근차근 쌓아야 끝까지 튼튼하지.  오늘은 MySQL 데이터 유형에 대해 알아보자. 적절한 데이터 유형을 정의하는 것이 데이터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데이터 입력의 유효성 검사에도 도움이 된다고 한다.오늘의 배움MySQL 데이터 유형의 종류형변환의 개념내장 함수의 활용 DATA_TYPES MySQL은 여러 가지 데이터 유형을 지원(문자열, 숫자, 날짜, 시간)한다.적절한 데이터 유형을 정의하면 데이터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데이터 입력의 유효성 검사에도 도움이 된다. 데이터 형식의 종류1. 숫자 데이터 형식정수 또는 실수 등의 숫자를 표현한다.FLOAT이나 DOUBLE형은 큰 범위의 숫자를 저장할 수 있지만 정확하지 않은 근사치를 저장하므로, 실수 형을 저장하고 ..

Develop/Database 2025.01.02

JOIN / SUBQUERIES / SET_OPERATORS 을 알아보자.

우리 같이 JOIN 하실래요?  오늘은 여러 테이블을 결합하고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조회하는 SQL의 JOIN, 서브쿼리, 그리고 SET 연산자에 대해 알아보자.오늘의 배움JOIN의 개념과 종류SUBQUERIES의 활용SET 연산자를 통한 결과 집합 결합 JOINJOIN은 두개 이상의 테이블을 관련 있는 컬럼을 통해 결합하는데 사용된다. 두개 이상의 테이블은 반드시 연관 있는 컬럼이 존재해야 하며 이를 통해 JOIN된 테이블들의 컬럼을 모두 활용할 수 있다.  ALIASSQL문의 컬럼 또는 테이블에 별칭을 달아줄 수 있다. 이러한 별칭을 ALIAS라고 한다. 컬럼 별칭resultSet의 컬럼명이 별칭으로 바뀜별칭에 띄어쓰기나 특수 기호가 없다면 홑 따옴표(')와 AS는 생략 가능하다.SELECT m..

Develop/Database 2025.01.02

DISTINCT / LIMIT / GROUPING / DML 을 알아보자.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조작하고 조회해 보자.   오늘은 DISTINCT, LIMIT, GROUP BY, DML 명령어에 대해 공부해 보자.오늘의 배움DISTINCT를 통한 중복 제거LIMIT을 이용한 결과 제한GROUP BY와 HAVING으로 데이터 그룹화DML을 통한 데이터 조작DISTINCTDISTINCT는 중복된 값을 제거하는 데 사용된다. 컬럼에 있는 컬럼값들의 종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DISTINC 활용단일열 DISTINCT 사용SELECT DISTINCT category_codeFROM tbl_menuORDER BY category_code;NULL값을 포함한 열의 DISTINCT 사용SELECT DISTINCT ref_category_codeFROM tbl_category;다중열 D..

Develop/Database 2024.12.31

SELECT / WHERE / ORDER BY를 알아보자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는 방법을 시작해 보지.  오늘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원하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조회하고 필터링하는 방법인, SELECT, WHERE, ORDER BY 명령어에 대해 알아보자.오늘의 배움SELECT 절의 이해WHERE 절을 통한 조건 설정ORDER BY를 이용한 정렬 방법SELECTSELECT절은 MySQL의 가장 기본적인 명령어로 특정 테이블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조회해서 가져오는 데 사용된다. SELECT FROM 활용SQL문 실행 단축키단일 쿼리 실행: ctrl + enter다중 쿼리 실행: 실행하고 싶은 만큼의 쿼리를 drag 후 ctrl + enter페이지 전체 쿼리 실행: ctrl + shift + enterSELECT문을 사용하여 단일 열 데이터 검색SELECT menu_name..

Develop/Database 2024.12.31

TRIGGER / 데이터 베이스 백업 및 복원을 알아보자.

자동으로 기록을 남기고, 데이터를 백업 및 복원하는 것인가.  오늘은 데이터의 무결성과 안전성을 유지하는 방법인 Trigger와 백업 및 복원에 대해 공부해 보자.오늘의 배움Trigger의 개념과 활용데이터베이스 백업과 복원의 중요성TRIGGERTrigger는 특정 데이터 변경 이벤트(DML 작업: INSERT, UPDATE, DELETE)가 발생할 때 자동으로 실행되는 저장된 프로시저의 한 종류이다. 데이터의 무결성과 일관성을 유지하는 데 사용되며, 자동으로 로직을 실행하여 업무 규칙을 강제하는 데 도움이 된다. Trigger의 특징특정 테이블에 대한 데이터 변경 이벤트에 반응한다.BEFORE 또는 AFTER 시점에 실행된다.행 단위 또는 문장 단위로 실행될 수 있다.예를 들어, 레스토랑에서 손님이 주..

Develop/Database 2024.12.31

VIEW / STORED PROCEDURE 를 알아보자.

Stored Procedure는 복잡한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만능 조리도구라면, VIEW는 정리된 메뉴판처럼 특정 정보를 보기 쉽게 제공해 주지.  오늘은 VIEW와 STORED PROCEDURE에 대해 알아보자.오늘의 배움VIEW란 무엇인지VIEW 생성 및 활용 방법Stored Procedure의 개요와 장단점Stored Procedure의 파라미터와 기능 안내1. VIEW SELECT 쿼리문을 저장한 객체로 가상테이블이라고 불린다. 실질적인 데이터를 물리적으로 저장하고 있지 않고 쿼리만 저장했지만 테이블을 사용하는 것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VIEW는 데이터를 쉽게 읽고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동시에, 원본 데이터의 보안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VIEW는 마치 디자이너가 특정 카테고리의 디자인..

Develop/Database 2024.12.31

CONSTRAINTS / INDEX 를 알아보자.

규칙과 책의 목차와 비슷한 것 같다.  오늘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중요한 개념인 제약조건(Constraints)과 인덱스(Index)에 대해 알아보자.오늘의 배움제약조건(Constraints)이란 무엇인지인덱스(Index)의 역할과 중요성제약조건과 인덱스를 활용하는 방법CONSTRAINTS CONSTRAINT (제약조건)은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특정 규칙을 적용하여 데이터의 무결성을 유지하는 데 사용되는 규칙이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잘못된 데이터 입력을 방지한다. 1. PRIMARY KEY: 테이블의 각 행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컬럼예시) 상품 ID는 각 상품을 유일하게 식별한다.CREATE TABLE 상품 ( 상품ID INT PRIMARY KEY, 상품명 VARCHAR(100..

Develop/Database 2024.12.31

DDL - 데이터베이스 구축 (테이블 생성, 데이터 입력 및 활용)

이번 정차 역은 'DDL'입니다.  오늘은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핵심 개념인 DDL(Data Definition Language)과 테이블 생성, 데이터 입력 및 활용에 대해 알아보자.오늘의 배움DDL이란 무엇인지테이블 생성 방법데이터 입력 및 활용 방법 DDL(Data Definition Language) DDL은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정의하는 명령어들이다. 주로 테이블, 인덱스, 뷰 등의 객체를 생성, 수정, 삭제하는 역할. 따라서,데이터베이스의 기본 구조를 설계하는 데 필수적인 부분SQL을 사용하여 테이블을 생성하거나 삭제할 때 사용됨 마치 디자인의 기본 구조를 잡는 것과 비슷한 것 같다.초기 디자인에서 레이아웃을 정하는 과정처럼DDL은 데이터베이스의 뼈대를 만드는 단  CREATE (테이블)새로운 ..

Develop/Database 2024.12.31

데이터베이스 모델링(5) - 물리 모델

개념모델, 논리모델, 물리모델. 셋의 차이는 무얼까?  오늘은 데이터베이스 설계의 마지막 단계인 물리 모델에 대해 알아보자.오늘의 배움물리 모델이란 무엇인지물리 모델의 목적과 주의사항데이터 타입의 종류와 예시물리 모델 실제로 데이터베이스에 이식할 수 있도록 모델의 구조보다는 인덱스, 뷰, 테이블 타입과 사용하는 DBMS와 같은 물리적 요소에 집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는 단계이다. 성능을 고려해 비정규화(Denormalyzation)를 진행하는 단계이다. 논리적 DB 설계(데이터 모델링)물리적 DB 설계DBMS의 종류나 제품에 상관없이 진행 (ERD는 어떤 데이터베이스를사용해도 적용 가능)특정 DBMS를 전제로 진행(적용 DBMS의 특성을 고려)  목적성능을 최적화 하기 위해 성능을 거려하여 엔터티를 ..

Develop/Database 2024.12.31

데이터베이스 모델링(4) - 논리 모델 (이상, 정규화)

모델이 개념을 가졌으니, 논리가 담긴 발언을 하는 것인가..?  오늘은 데이터베이스 설계에서 중요한 개념인 이상(Anomaly)과 정규화(Normalization)에 대해 공부해 보자.오늘의 배움이상이란 무엇인지이상의 종류: 삽입, 갱신, 삭제 이상정규화의 정의와 목적정규화의 종류와 단계  이상 (Anomaly)중복된 데이터 때문에 데이터에 의도하지 않은 현상이 발생되면 이를 이상 현상이라고 한다. 이상 현상에는 삽입 이상, 갱신 이상, 삭제 이상이 존재한다. 1. 삽입 이상(Addition Anomaly)새로운 데이터를 추가할 때 불필요한 정보를 함께 저장해야만 하는 현상이다.예시) 상품을 추가할 때, 주문 번호나 수량 같은 불필요한 정보를 입력해야 한다면, 이는 삽입 이상이 발생한 것이다. 마치 새로..

Develop/Database 2024.12.3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