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톡] - Sprint 3 회고록
기간: 2025.01.03 - 2025.01.08
1. 이번 주 목표
-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웹 크롤링 구현
- 각자의 페이지 개발 및 메인 인사이트 도출
- README 작성 및 발표 준비
2. 이슈 및 해결 방안
문제 상황
- 데이터 수집 방식의 오류 - 웹 크롤링 및 API 활용 필요성
- 초기 데이터 수집 방법의 오류
- 영향도: 데이터베이스 구축 지연
- 해결 방안: 웹 크롤링 방식으로 데이터 수집 결정(Selenium)
의사결정 사항
- Selenium을 통한 웹 크롤링 방식으로 수정
- 논의 과정: 선생님의 조언
- 선택 이유: 효율적인 데이터 수집 및 프로젝트 방향성에 맞는 방식 선정
3. 팀 협업 현황
1. 회의록
- 1월 7일
- 참석자: 팀원 전체
- 주요 논의사항: 데이터 수집 방법 및 각자 테스크 확인
- 결정사항: 잘못된 데이터 수집 방식을 웹 크롤링 방식으로 데이터 수집하기로 결정
4. 회고 (4L)
Liked (좋았던 점)
- 팀원 간의 협력과 문제 해결 의지
Learned (배운 점)
- 웹 크롤링 및 데이터 수집 기술 습득
Lacked (부족했던 점)
- 초기 계획의 세부적인 부분에서의 미흡함
Longed for (바라는 점)
- 다음 프로젝트에서는 초기 계획을 더 철저히 수립하고 싶음
5. 주요 배운 점
- 기술적 측면: Selenium을 통한 웹 크롤링 기술 습득
- 협업 측면: 팀원 간의 소통과 협력이 중요함
- 프로세스 측면: 초기 계획 단계에서의 세부 사항 체크 필요
주말동안 프로젝트의 방향성이 뚜렷해졌고, 월요일이 된 7일에 우리는 각자의 테스크를 가지고 와 확인을 했다.
아직 다들 streamlit으로 시각화를 구현하는 중이었다.
내일이 발표인데... 선생님의 중간점검을 하는 시간이 생겼다.
우리 팀의 확고한 방향성은 좋으나, 데이터 수집하는 것에 있어 방식이 틀렸으니 웹크롤링과 오픈 API를 이용해 프로젝트의 데이터베이스를 만들라고 조언을 주셨다.오후 4시에....... 청천벽력이 떨어졌다... 다행인건 streamlit으로 구현하는 부분은 그렇게 큰 지장이 생기지 않을 부분이라 데이터수집하는 것이 가장 큰 위기가 되었다...그렇게 우린 다시 선정했던 데이터와 추가로 다른 데이터를 선생님의 조언 방식대로 구해야 했다.
그 어려운... selenium을 사용해 웹크롤링을 해야 했다...그것이 나에게 테스크로 주어졌고,,,, 문제는 2시간 만에.... 저는 처음 하는 초초초초초초보입니다!!!멘붕이었다. 하지만 시간은 없고 해야 할 사람은 나뿐이고! 그래서 생각하는 시간에 몸을 움직였다.gpt 도움을 빌리며 해보았다. html 코드도 읽으면서 해야 하는 것이라 너무 어려웠다..그리고 뭐 이렇게 복잡하게 되어있는 것 인지....머리가 너무 아팠다. 마음은 너무 막막해서 꽉 막힌 것 같았다.그래도 해야만 해 나밖에 없어 내가 해야 해라는 책임감이 막중했다.근데 그것이 나에게 큰 성장을 도와준 것 같다.그렇게 7시 약간 넘어서 이 문제를 해결했다!나에게 큰 스킬이 습득되었다. 풀리지 않을 것만 같던 문제가 풀리고, 하면서도 너무 막막해서 나 캠프 그만두어야 하나, 내 길이 아닌가 하며 좌절하면서도 손은 끝까지 움직임을 놓지 않고 있었는데 이렇게 해결이 되니 너무 뿌듯했다.프로젝트의 꽃인 데이터베이스 중 하나를 내가 수집했다는 것이 너무 뿌듯했다.그렇게 데이터베이스는 모두 맞춰졌고, 이제 각자의 페이지에 해당 데이터를 통해 디벨롭을 하고 readme를 작성하는 과정만 남았다.오늘 밤새 각자 알아서 해서.. 내일 오전부터 readme를 작성해 보기로 했다.당장 내일 발표인 게 짜릿하다... 하하...
8일. 프로젝트 발표날.오전에 이제 페이지들을 모두 모아 메인에 넣고 실현하는 것을 했다.시간이 너무 촉박하다...그러고 readme를 했다. 거진 발표전까지 한 것 같다.이렇게 첫 팀프로젝트가 끝이 났다!너무 막막하고 무서웠는데, 눈떠보니 이렇게 또 하나를 해낸 성취감.뭔가 해내긴 했네 나..ㅎㅎ.. 잘했다!
9기 모든 발표 후 다음날 선생님의 피드백이 이어졌다.
선생님의 전체 피드백
- 팀명: 회사의 이름 및 팀의 운명과 방향성
- 발표 태도: 면접관을 바라보며 또박또박한 발음과 자신감 있는 태도
- 발표 내용: 프로젝트와 관련된 알맞은 내용으로 발표
- 발표 형식: 인사, 발표할 내용, 발표 순서 제시
- 발표자 변경 시, 앞사람이 다음 발표자를 소개하고 뒷사람이 자기소개를 하며 시작
- 팀의 수평적인 관계 유지
- 기술 스택: 카테고리 분류와 사용 기술에 대한 간단한 설명
- WBS: 기간 포함, 업무 협업 상태 확인을 위한 자료
- 요구사항 명세서: 클라이언트 요구사항 정리
- 기술 시연 캡처본: 전체 페이지로 보여주기
- 한 줄 회고: 명확한 사례와 구체적인 KPT 포함
- 프로젝트 필요성: 사례와 출처 첨부
- 주요 기능 시연 시, 굵직한 제목만 언급하기
우리 팀 프로젝트에 대한 피드백:
- 필요성, 배경, 근거에 맞는 내용 포함 필요 (현재 목표적 측면이 강함)
- 페르소나: 요구사항 명세서 작성을 위해 필요 (클라이언트가 없는 팀 프로젝트이므로 일반 사용자의 가중치로 우선순위 설정 필요)
- 한 줄 회고: 명확한 사례로 KPT 내용을 담아야 함
- 시연 페이지: 해당 캡처본이 어떻게 도달할 수 있는지 자세한 프레임워크 제공 필요
'SKN_09_Proje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캠프 9기] 2번째_무빙_250122~250124 (머신러닝까지) (0) | 2025.01.27 |
---|---|
[SK캠프 9기] 2번째_무빙_250118~21 (EDA 미니프젝 끝) (0) | 2025.01.22 |
[SK캠프 9기] 2번째_무빙_250115~250117 (벌써, 미니프로젝트) (2) | 2025.01.21 |
[SK캠프 9기] 1번째_전기차톡_250104~5 (기초 설정은 끝났다) (10) | 2025.01.18 |
[SK캠프 9기] 1번째_전기차톡_250103 (첫 팀플 시작이다) (0) | 2025.01.12 |